플레인센스 - 김동현

줄거리

화자는 베테랑 파일럿으로서 비행과 관련된 이야기를 다양한 관점과 경험을 바탕으로 풀어낸다. 먼저 하이재킹을 주제로 우리나라에서 있었던, 외국에서 있었던 사건들에대한 소개를 한다. 시스템과 규칙의 부재로 끔찍한 사고들이 많이 일어났고 이과정에서 제도와 법안은 늘 선행되지 않았다.

 

중반부에선 비행기에 숨어 밀항한 사건들, 스튜어디스의 탄생, 조종사와 관제사, 비행기의 화재, 2차 세계대전이 비행기술에 미친 영향, 보잉과 에어버스 등 여러 주제로 정보를 전달한다. 비행기를 탈때, 내가탈 비행기가 보잉사인지, 에어버스인지 구분하는 방법이 기억에 남는다.

 

또한 먼 과거 북두칠성을 보고 방향을 짐작하며 했던 항해와 현대의 비행기의 발전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그리고 화자가 생각하는 프로 조종사란 어떤 사람인지 어떤 능력이 필요한지, 대서양과 태평양횡단 시뮬레이터를 발명한 링크사 등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느낀점

나는 가끔 비행기를 탈때 발생하는 절차들이 복잡하다고 느꼈다. 택시나 버스같은 교통편처럼 휙휙 탈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긴 시간 있었던 하이재킹, 화재, 충돌, 회항 등 의 사고를 알게되고 꼭 필요한 일임을 구체적으로 알게되었다.

 

일을 대하는 태도를 배울 수 있었다. 화자는 프로 조종사가 필요한것들에 대해 말했지만 어떤 직업이든 대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보이는것에 집중해 닥쳐온 문제를 고치는 사람이 아닌 선제적이고 예측적으로 또 침착하게 문제를 의식하고 해결해야겠다.

 

수많은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얻고 비행기를 제어한다. 특히 에어버스의 항공기는 사람의 실수로 큰 사고가 나지 않도록 시스템으로 안전한 비행이 되도록 한다. 현대의 항공, 관제 시스템은 얼마나 많은 시스템이 얽혀 복잡할지 감도 안온다. 이를 구현한 항공 회사의 기술자들이 대단하다고 생각된다